가치투자퀀트

한국 시장 PBR 점검 (매수 타이밍인가) (1/2) 본문

퀀트 투자

한국 시장 PBR 점검 (매수 타이밍인가) (1/2)

곰발이 2022. 10. 4. 10:53

9월 결산 글에도 섰지만, 제 벨류펙터 전략 (POR + GP/A) 는 코로나 MDD 를 갱신하였습니다.

개인적으로 현금은 모두 소진했습니다만,

아직 신용이라는 무기가 남아 있습죠 (주식레버리지 x)

저같은 경우 주식투자금은 현금 + 신용으로 운용하고,

신용은 저의 현금흐름이 허용하는 금액까지가 Maximum 운용자금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
그래서 이번주 9월 28일 제 와이프의 마통과 제 신용의 절반을 2150 선에서 투하 하였습니다...

이제 기도 메타만 남았네요 하하..

개인적인 이야기는 각설하고 시장의 가격을 분석해 보았습니다.


PBR 은 PER 과 다르게 시장의 절대적인 가격을 어느정도 보여주는 지표 입니다.

아래 차트는 KOSPI PBR 의 히스토그램입니다. (PBR 값의 분포도)

PBR 히스토그램

현재 코스피의 PBR 은 0.83 입니다.

밴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2020년 코로나 최저점이 0.59 , 2008년 금융위기는 0.79 였습니다.

당연히 PBR 저점에서 잡으면 베스트 이겠지만, 사실 그리 쉬운일은 아닙니다.

2002 년 부터 현재까지 PBR 데이터 기준으로 PBR 0.85 , 0.8 , 0.75 , 0.7 이하로 내려간 일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
 
일수
비율
365일 기준
전체
5052
< 0.85
150
2.97%
11
< 0.8
71
1.41%
5
< 0.75
22
0.44%
2
< 0.7
9
0.18%
1

현재의 주가는 전체 5052일 중 150 정도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2.9% 에 해당하는 구간 입니다.

이는 일년중 딱 11일정도 오는 기회로 나쁘지 않은 자리입니다.

0.8 이하의 영역은 총 71일로 1.4%에 해당하는 구간입니다.

전체 1년 365일 중 5일에 해당하는 영역입니다.

다만 0.75 이하 영역은 총 22일로 365일 중 단 이틀만 발생한 날이였습니다.

그렇다면 해당 구간에서 매수 했을때 1년 후 수익은 어떨까요?

PBR 0.85 이하
반년 후 평균 수익률
26.72%
1년 후평균 수익률
46.06%
매수날짜
주가
0.5년후 날짜
0.5년후 주가
수익률
1년후 날짜
1년후 주가
수익률
2003/03/17
515.24
2003/09/17
766.59
48.78%
2004/03/17
872.38
69.32%
2008/11/19
1,016.82
2009/5/20
1,435.70
41.20%
2009/11/19
1,620.54
59.37%
2019/01/02
2,010.00
2019/07/03
2,096.02
4.28%
2020/01/02
2,175.17
8.22%
2020/02/25
2,103.61
2020/08/26
2,369.32
12.63%
2021/02/25
3,099.69
47.35%
               
PBR 0.8 이하
반년 후 평균 수익률
21.03%
1년 후평균 수익률
31.93%
매수날짜
주가
0.5년후 날짜
0.5년후 주가
수익률
1년후 날짜
1년후 주가
수익률
2003/06/04
640.27
2003/12/04
805.13
25.75%
2004/06/04
780.74
21.94%
2019/08/07
1,909.71
2020/02/10
2,201.07
15.26%
2020/08/07
2,351.67
23.14%
2020/03/10
1,962.93
2020/09/10
2,396.48
22.09%
2021/03/10
2,958.12
50.70%
               
PBR 0.75 이하
반년 후 평균 수익률
30.71%
1년 후평균 수익률
58.55%
매수날짜
주가
0.5년후 날짜
0.5년후 주가
수익률
1년후 날짜
1년후 주가
수익률
2003/04/29
597.36
2003/10/29
779.66
30.52%
2004/04/29
875.41
46.55%
2020/04/09
1,836.21
2020/10/12
2,403.73
30.91%
2021/04/09
3,131.88
70.56%

PBR 0.85 이하에서 매수하든 PBR 0.8 이하에서 매수하든 좋은 타이밍에 매수 할 수 있었습니다.

또한 1년뒤의 수익은 단한번도 (-) 를 기록한 적이 없었습니다.

반면에 너무 보수적으로 0.75 이하에서 매수 할 경우 2019 년의 저점 타이밍은 잡을 수 없었습니다.

(2019년의 매수 이후 2020년 코로나의 연이은 폭락은 서로다른 악재에 의한 폭락이므로 저는 2019 년 저점도 잡아야 하는 저점으로 생각합니다)

따라서 결론적으로

PBR 0.85 이하 영역에서 적극적 매수는 매우 매우 합리적 입니다.

Comments